Samsung research 블로그에 private 5G 관련 포스팅이 있어서 정리.
▼ 출처 ▼
BLOG | Samsung Research
Private 5G in Enterprises – Expanding Opportunities for Vertical Industries
research.samsung.com
Private 5G in Enterprises - Expanding Opportunities for Vertical Industries
LTE를 통해서도 HD/4K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충분하였고,
현재 XR/Metaverse이 많이 거론되고 있지만 8K에 대한 수요는 거의 없음.
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5G를 빨리 도입하려고 했을까?
5G는 Private 5G라는 새로운 시장을 열어줄 수 있다.
Why Enterprises/Verticals Want Private Network
기존의 통신망은 일반적인 사용자를 목표
Private network는 특정 요구에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요구.
- Private network를 통해서 각 산업 application 요구사항 (ex : low latency, reliable transmission)에 맞춘 서비스와 기능들을 최적화 가능
- 네트워크를 온전히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, 독립적으로 운영이 가능.
- Public network와 구분되어 운영되기 때문에 보안에 민감한 데이터의 유출 가능성 감소
-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대한 coverage 보장 (예 : 광산, 농장, 공장, 발전소 등)
Historically
Wi-Fi
- 오랜 시간 기업들의 무선 네트워크를 담당
- Wi-Fi6가 되면서 최대 9.6Gbps까지 지원 가능
- 제한된 coverage, capacity와 Qos 보장이 힘든 한계
- mission-critical, public safety, defence, manufacturing space 등에 사용이 힘들다.
- drone, AR/VR/XR 기반의 app들은 performance 보장이 굉장히 중요
LTE
- QoS centric design 제공, Wi-Fi 대비 더 넓은 coverage와 더 좋은 reliability
- Private LTE network도 많이 사용됨.
- 4K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하는 device 또는 low power and low data rate를 원하는 device 모두 지원 가능
- 서비스에 따라서 reliability, QoS 조절 가능
- 그러나!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아서 구축하는데 어려움
- mission critical service, 공장 자동화 등에서 요구하는 일부 feature를 제공 안함. (URLLC, mMTC 등)
Private 5G Explained
- 3GPP에서 Release 16을 통해 Non-Public-Networks (NPN)을 지원. (NPN은 Private 5G와 같은 개념이다.)
- 5G에서 지원하는 URLLC, superior throughput capacity 뿐만 아니라, network slicing, edge computing, CUPS 등도 함께 적용이 가능.
- PLMN과 함께 사용하는 것 지원 (PNI-NPNs : Public Network Integrated Non-Public Networks)
SNPN
- PLMN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인 망 구성
- PLMN ID + NID (Network ID)를 통해 SNPN 식별
- network selection을 위해서 여러 PLMN ID 중 하나와 NID 리스트를 NG-RAN이 NG-RAN에 의해 broadcasted
- SNPN UE : PLMN ID, NID, SUPI (supsciption identifier), credentials for the SNPN 가지고 있음.